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47

청양 천장호출렁다리 ◆청양 천장호출렁다리★촬영일자/2025년 1월 ​​​◈천장호출렁다리2017년 당시 국내 최장 출렁다리로 청양을 상징하는 고추모형의 주탑(높이 16M)을 통과한 후 천장호수를 가로지르며 자연경관을 즐길 수 있는 이색명물이다.천장호에는 황룡과 호랑이의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어느 날, 이곳에 살던 아이가 몸이 아파 의원을 찾아가야 하는데 냇물에 큰 물이 흘러 건널 수가 없게 되자, 이곳에서 승천을 기다리던 황룡이 승천을 포기하고 자신의 몸으로 다리를 만들어 건너게 하여 한 아이의 생명을 구했다. 이를 본 칠갑산 호랑이가 감명을 받아 영물이 되어 이곳 주민들을 보살펴 왔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천장호 출렁다리는 방송등을 통해 일반 국민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 유명 관광지이기도 하다. 특히 몇 해 전.. 2025. 2. 5.
영장산 폭설산행 ◈영장산 폭설산행​★소재지/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 경게​★산행일자/2025년 1월 28일​​★코스/이매역1번출구-대찬낙지-종지봉-매지봉-노적봉-영장산정상-거북터삼거리-새마을연수원-율동새마을연수원 버스정류장 ​★산행거리/약 7키로 ​​ ★영장산위치: 경기도 성남시/광주시 높이: 영장산 413.5m. ​유래: 옛날에 이 산봉우리의 정상에서 매사냥을 한 데서 유래되었다고도 하고, 천지가 개벽할 때 세상이 모두 물에 잠겼으나 이 산봉우리에 매 한 마리가 앉을 만한 공간이 남았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영장산은 최근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원래는 ‘매지봉’이나 ‘맹산’이라고 불렀다. 맹산은 조선시대 세종이 명재상인 맹사성에게 이 산을 하사해 불리게 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특징: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2025. 1. 30.
영장산(경기성남/광주) 등산지도 모음 위치: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태평동, 광주시 직동. 유래: 옛날에 이 산봉우리의 정상에서 매사냥을 한 데서 유래되었다고도 하고, 천지가 개벽할 때 세상이 모두 물에 잠겼으나 이 산봉우리에 매 한 마리가 앉을 만한 공간이 남았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영장산은 최근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원래는 ‘매지봉’이나 ‘맹산’이라고 불렀다. 맹산은 조선시대 세종이 명재상인 맹사성에게 이 산을 하사해 불리게 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특징: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와 광주시 오포읍 경계에 있는 산이다. 남한산성에서 검단산, 갈마치고개, 영장산, 태재, 불곡산을 이어 죽전으로 연결되는 아기자기한 봉우리와 능선이 빼어나 주변 시민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산은 대체로 육산으로 걷기에 편하고 산행로가 뚜렷하.. 2025. 1. 28.
노고산(경기양주/고양) 등산지도 2025. 1. 27.
100대명산 민주지산 산행 ​ ◈100대명산 민주지산 산행 ​★소재지/충북영동-전북무주-경북 김천​★산행일자/2025년 1월 19일​★코스/물한계곡주차장-황룡사-석기봉삼거리-주능선삼거리-민주지산 정상-주능선삼거리-석기봉삼두마애불상-석기봉-3거리안부-석기봉삼거리-황룡사-물한계곡주차장  ​★산행거리/약 12.4키로(4시간40분소요) ​​​★민주지산/민주지산(岷周之山)은 충청북도 영동군 용화면·상촌면,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242m이다. 백두대간의 일부로 추풍령에서 남서쪽으로 15㎞ 정도 떨어진 지점에 있다.  북쪽으로는 국내 최대 원시림 계곡인 물한계곡과 각호산(1,176m)이 이어지며, 남동쪽으로는 석기봉(1,200m)과 삼도봉(1,176m), 경상북도 쪽으로는 직지사가 이어진다.. 2025. 1. 26.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내의 밤거리-2부 ◆제주시내의 밤거리-2부★촬영일자/2024년 12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제주특별자치도 북부에 위치한 행정시다. 49만의 인구와 면적은 978㎢이다. 제주특별자치도청이 있고 제주도의 최대 도시다. 제주시는 제주도 전체 인구의 70% 이상이 몰려있는 도내 핵심도시이다. ​과거에는 북제주군과 제주시가 각각 존재했지만 2006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으로 북제주군과 제주시가 행정시 제주시로 통합되었다. 조선 시대 이전에는 탐라국의 중심지였으며 도성인 성주청이 있었다. 그러다 조선 초기 탐라국이 해체되고 흡수되면서 전라도 제주목이 되었다. ​1946년 제주도 전역이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어 광역행정구역으로서의 제주도(道)로 독립함과 동시에 남제주군, 북제주군의 2개 군이 설치되었으며 그 중 북제주군 제.. 2025.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