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장산 폭설산행
★소재지/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 경게
★산행일자/2025년 1월 28일
★코스/이매역1번출구-대찬낙지-종지봉-매지봉-노적봉-영장산정상-거북터삼거리-새마을연수원-율동새마을연수원 버스정류장
★산행거리/약 7키로
★영장산
위치: 경기도 성남시/광주시 높이: 영장산 413.5m.
유래: 옛날에 이 산봉우리의 정상에서 매사냥을 한 데서 유래되었다고도 하고, 천지가 개벽할 때 세상이 모두 물에 잠겼으나 이 산봉우리에 매 한 마리가 앉을 만한 공간이 남았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영장산은 최근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원래는 ‘매지봉’이나 ‘맹산’이라고 불렀다. 맹산은 조선시대 세종이 명재상인 맹사성에게 이 산을 하사해 불리게 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특징: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와 광주시 오포읍 경계에 있는 산이다. 남한산성에서 검단산, 갈마치고개, 영장산, 태재, 불곡산을 이어 죽전으로 연결되는 아기자기한 봉우리와 능선이 빼어나 주변 시민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산은 대체로 육산으로 걷기에 편하고 산행로가 뚜렷하여 가벼운 산행지로 적격이다. 숲이 많아 주변 경관은 잘 보이지 않는다.
갈마치 고개에서 시작하거나 야탑역, 이매역, 율동공원에서 올라오는 길이 여럿 있다.
▲ 유튜브 영상/2025년 1월29일 업로드
본인이 직접 제작한 영상입니다. 보시고 좋으시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합니다
▲영장산 산행 개념도

▲수인분당선/경강선 1번출구로 나갑니다

▲100미터 직진합니다. 우측으로 횡단보도를 건넙니다

▲전방에 대찬낙지 간판이 보입니다. 간판앞에서 좌측 산으로 들어갑니다

▲산으로 들어가면서 뒤돌아본 분당 이매역일대

▲조그만 안내문이 나무에 달려있습니다

▲주택가 옆으로 등산로가 나있습니다


▲첫번째 이정목이 나옵니다. 종지봉 1.35키로

▲이정목이 계속 나옵니다


▲육각정 정자 삼거리를 지납니다
▲종지봉 0.5키로 이정목


▲운동시설이 있는 종지봉(227m)에 올라섭니다

▲영장산은 좌측길입니다



▲영장산 2.3키로 이정목

▲매지봉(272m)이 보입니다

▲영장산 2.2키로

▲산불감시탑이 있는 종지봉(272m)에 올라섭니다.

▲산불감시탑은 전망대로 이용한다는 안내문이 나무에 걸려있습니다

▲전망대 역활을 한다는 산불감시탑

▲하지만 문은 잠겨있고 운영기간은 2/1~12/15일까지입니다

▲특이한 바위를 지납니다


▲바위2개가 위치한 지대를 지납니다

▲전방에 영장산 정상이 살짝 보입니다

▲영장산

▲솔밭쉼터 방향으로 가야합니다

▲영장산 0.75키로 이정목을 지납니다


▲정상이 가까워집니다

▲정상직전의 돌탑삼거리



▲영장산 정상

▲정상석(413.5m)

▲정상의 이정목

▲직진해서 거북터로 갑니다

▲정상능선에는 눈이 더욱 많이 쌓여있습니다

▲새마을연수원으로 내려갈수있는 첫번째 갈림길을 지납니다


▲두번째 갈림길(거북터)에서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그러나 이정목에는 곧은골고개로 나와있습니다. 하지만 이곳이 거북터로 사료됩니다

▲거북터에서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새마을연수원 1.4키로

▲거북터


▲민가가 보입니다


▲새마을연수원앞에서 산행을 마칩니다

▲새마을연수원

▲도로를 따라 약720미터를 내려가면 연수원사거리 버스정류장이 나옵니다

▲뒤돌아본 영장산

▲율동 새마을연수원사거리

▲새마을연수원사거리 버스정류장. 이곳에서 버스를 타면 서현역으로 갑니다

▲서현역

'한국의 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주 노고산 산행(487m) (0) | 2025.03.01 |
---|---|
용봉산 산행(381m) (0) | 2025.02.14 |
가평 옥녀봉-노적봉(구나무산)심설산행 (0) | 2025.01.09 |
제주도 새별오름 산행 (4) | 2024.12.21 |
백두대간 조령산 산행(촛대바위 능선) (8)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