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의 마지막 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존재가 처음 세상에 알려졌다.
그로부터 1년여,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호흡기 감염병의 유행은 전 세계를 휩쓸었다. 팬더믹(대유행)은 확진자 1억명을 향해 쉼 없이 달리고 있다. 이미 200만명 가까운 목숨이 바이러스에 스러졌다.
[백신 트래커]
한 눈에 보는 코로나와 전쟁
백신 개발·접종 현황 총정리
백신과 치료제. 인류가 새로운 감염병과 싸우려면 꼭 필요한 무기들이다.
팬더믹 시작과 동시에 백신·치료제 개발도 물꼬를 텄다. 팬더믹의 유행세만큼 백신 개발 속도도 경이적이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효과적인 백신 만드는 데 몇 년씩 걸린다. 하지만 미국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는 단 11개월 만에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했다.
백신 트래커 뉴스 업데이트
1월 12일 : 미국 아크투러스 백신, 2상 개시
1월 10일 : 중국, 전 국민에 백신 무료 접종 추진
1월 8일 : 정세균 총리 "2월 후반 접종 시작, 가을 전 집단 면역 가능"
1월 6일 : 브라질 "시노박 백신 예방효과 78%"
1월 6일 : 미국 CDC "29명, 백신 접종 후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100만명당 5.5명꼴
1월 6일 : EU, 모더나 백신 승인
1월 4일 : 이스라엘, 모더나 백신 승인
1월 4일 : 대만, 메디젠 백신 2상 승인
1월 4일 : 식약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허가·심사 착수
* 현지시간 기준
2020년 12월 8일. 영국 90세 할머니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백신 접종이 시작됐다.
이제 코로나와의 전쟁은 2라운드를 맞이했다. 전 세계 모든 국가와 제약업체, 연구소 등이 달라붙어 반(反)코로나 전쟁에 매진하고 있다.
2021년은 코로나와의 싸움을 끝낼 '엔드게임'(종반전)이 될 수 있을까. 중앙일보는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적인 백신 개발·접종 레이스를 추적하는 '백신 트래커(Tracker)'를 운영한다. 최신 백신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했다.
개발 중인 백신은 도대체 몇 개일까?
전 세계 제약업체들이 백신 개발에 나섰기 때문에 정확히 집계하기 어렵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동물 실험 등이 진행 중인 임상 전 단계에만 190개 넘는 백신이 있다. 사람에게 적용하기 시작하는 임상 1상에는 14개 백신이 진입했다. 2상은 13개, 3상은 12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사용 승인받은 제품(9일 기준)은 화이자, 모더나(미국) 2종이다. 하지만 대규모 3상을 거친 백신들이 현장에 투입되기 시작했다. 국내 도입 예정인 아스트라제네카(스웨덴)-옥스포드대(영국) 백신은 지난해 12월 영국 정부의 긴급사용 승인을 받았고, 중국·러시아 백신 등을 쓰는 국가들이 늘고 있다. 곧 일반인도 쓸 수 있는 백신들이 쏟아질 거란 의미다.
반면 한국은 백신 개발 경쟁에서 쫓아가는 입장이다. 제넥신, SK바이오사이언스, 진원생명과학 등 대부분 업체가 1~2상 단계에 머물러 있다.
백신은 어떻게 코로나 바이러스와 싸울까?
개발 속도전에서 치고 나간 건 RNA나 DNA를 활용하는 유전자 백신이다. 세포가 무해한 바이러스를 만들도록 지시하는 '메신저'를 통해 몸 안에 항원을 생성하는 게 mRNA(전령 RNA) 유형이다. 화이자와 모더나가 여기에 해당한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DNA 조각을 몸에 투입해서 항원을 생성하기도 한다. 최신 기술로 꼽히는 이들은 백신 물질을 아주 빠르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유전자를 안전한 바이러스(운반체)에 넣어 인체로 투입하는 '바이러스 벡터' 형도 있다. 아스트라제네카가 대표적이다. 아프리카에서 유행한 에볼라도 이 방식으로 백신을 만들었다.
그 외엔 바이러스를 죽이거나 힘을 없애버리는 비활성화 백신(전통적 방식), 바이러스의 단백질 구성 요소를 재조합하거나 HPV·말라리아 백신처럼 바이러스 유사 입자를 쓰는 형태도 있다.
이름 들어본 주요 백신들, 장·단점은 뭘까?
일반인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백신은 세 가지다. 백신 개발 경쟁에서 앞서 나간 화이자와 모더나, 그리고 가장 많은 물량을 생산ㆍ공급할 예정인 아스트라제네카다. 이들 백신은 2회 접종이 원칙이다. 화이자는 3주 간격, 모더나·아스트라제네카는 4주 간격으로 주사를 맞아야 한다. 각 사가 공개한 임상 자료에 따르면 3종 모두 접종 후 심각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의 작동 원리(전령RNA)는 동일하다. 예방 효과도 화이자 95%, 모더나 94.1%로 높다. 다만 한 번 접종하는 데 드는 비용은 2만원 안팎으로 비싼 편이다. 화이자는 영하 70도 이하의 초저온 '콜드 체인'으로 유통해야 하는 부담도 있다. 모더나는 영하 20도 보관이 원칙이지만, 2~8도에서도 상태가 유지돼 상대적으로 보관하기 쉽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예방 효과는 70.4%로 다소 떨어진다. 하지만 첫 번째 접종 시 절반만 투여하고, 두 번째에 전량을 쓰면 90%로 나오기도 했다. 이 백신의 장점은 비용이다. 1회 접종 시 3000~5000원 정도만 소요된다. 또한 6개월간 2~8도 냉장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출처: 중앙일보]
'세상과의 만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10대 뉴스(국제) (0) | 2021.01.17 |
---|---|
코로나 백신 국내현황 (0) | 2021.01.13 |
코로나 백신 50~64세 성인 우선 접종 (0) | 2021.01.12 |
과연 윤석열의 선택은 (0) | 2021.01.12 |
다음달부터 전국민 백신 무료 접종 (0) | 202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