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중랑 장미공원 탐방

★소재지/서울시 중랑구 묵동과 중화동일대

중랑장미공원(묵동교~겸재교 중랑천 일원)

 

★촬영일자/2023년 6월 06일

★중랑장미공원(서울장미축제)

2005년 중랑천 둔치 공원화 사업으로 심기 시작했던 장미가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아름다운 장미터널을 형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5.15KM의 국내 최대 규모의 장미터널을 적극 활용하여 도심 속에서 아름다운 장미와 함께 다양한 문화 체험 공연까지 즐길 수 있는 축제입니다.

 

★참고용입니다.

서울장미축제는 중랑장미공원에서 지난 2023 5/13~28일까지 이미 개최되었습니다. 축제는 끝났어도 아직 장미는 볼만합니다!

 

 

▲ 유튜브 영상/2023년 6월07일 업로드

본인이 직접 제작한 영상입니다. 보시고 좋으시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합니다.

 

 

▲ 지하철 7호선 태능입구역 8번 출구로 나가 좌측으로 가서 동일로상의 묵동교를 건너갑니다

▲ 중랑장미공원 안내가 나옵니다

▲ 중랑장미공원 안내도

▲ 장미공원 소개 안내판

▲ 축제는 5월28일에 끝났지만 장미꽃은 아지 피어있습니다

▲ 화장실앞의 장미는 조화입니다

 

▲ 먹골역 7번출구로 나가 400미터 가면 장미꽃빛거리가 나옵니다. 장미터널입니다

▲ 장미터널의 장미는 많이 지고 없어 아쉽습니다

 
 

728x90

◈부천 백만송이장미원 탐방

★소재지/경기도 부천시 도당동

★촬영일자/2023년 6월 03일

★부천백만송이 장미원 탐방

해발 105.6미터로 부천시 도당동에 자리잡은 춘의산(도당산 근린공원)자락에 약4천5백평의 부지에 약161종 15만그루의 장미를 심어 가꾼 장미공원이다.

이곳은 원래 우범지대에 속하는 곳이었으나 부천시에서 밝은거리와 시민의 휴식을 위해 조성했다고 한다. 입장료는 무료이고 주차장이 협소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2023년 올해의 장미축제는 05.20~06.11까지 23일간 개최된다.

 

▲ 유튜브 영상/2023년 6월05일 업로드

본인이 직접 제작한 영상입니다. 보시고 좋으시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합니다.

▲ 지하철 7호선 춘의역 7번출구로 나가 바로 나오는 버스정류장에서 50번/70-2번/661번 버스를 타고 3정거장째인 도당주민지원센타 정류장에 하차합니다

▲버스에서 하차하고 우측방향(버스가 온 방향)으로 80m가면 보이는 송월타월(도당한의원) 간판에서 좌측 골목길로 670m를 가면 백만송이장미원이 나옵니다

▲ 장미원 입구가 나옵니다. 걷기가 싫은신 분들은 7호선 까치울역 3번출구에서 013-3번 버스를 타고 이곳으로 올수도 있습니다

▲ 분수대가 있고

▲ 백만송이장미원이라는 안내판도 있습니다

▲ 장미의전설/옛날 아도니스라는 미소년은 미의 여신인 아프로디테의사랑을 받고 있었는데이를 질투한 아프로디테의 남편 헤파이스토스는 멧돼지로 변해서 사냥을 하던 아도니스를 물어 죽였다. 이때 아도니스가 죽으면서 흘린 피에는 아네모네 꽃이 피었고 아프로디테의 눈물에서는 장미꽃이 피었다는 전설이있다.

▲ 휴일을 맞아 많은 인파로 붐비고 있습니다

 

▲1998년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이곳은 약15만그루인데 1그루당 최소 7개정도의 꽃이 피는걸로 예상되어 100만송이가 넘기 때문에 백만송이장미원으로 이름이 지어졌다고 합니다

 

 

 

728x90

 

◈부천 춘의산 산행(부천백만송이 장미원)

★소재지/경기도 부천시 도당동/춘의동/여월동의 경계

★산행일자/2023년 6월 03일

★춘의산(도당산)

해발 105.6미터로 부천시 도당동/춘의동/여월동의 경계에 자리잡은 낮은 동산이다. 주위에 7호선 지하철인 춘의역과 부천종합운동장역이 지나간다.

춘의산밑에는 백만송이장미원이 춘의산 바로옆인 원미산에는 진달래밭이 조성된 점이 특이하다. 두산 모두 정상에 오르면 부천시내와 시흥의 소래산이 잘 조망된다.

 

▲ 유튜브 영상/2023년 6월05일 업로드

본인이 직접 제작한 영상입니다. 보시고 좋으시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합니다.

▲ 지하철 7호선 춘의역 7번출구로 나가 바로 나오는 버스정류장에서 50번/70-2번/661번 버스를 타고 3정거장째인 도당주민지원센타 정류장에 하차합니다

▲버스에서 하차하고 우측방향(버스가 온 방향)으로 80m가면 보이는 송월타월(도당한의원) 간판에서 좌측 골목길로 670m를 가면 백만송이장미원이 나옵니다

 

▲ 만개한 백만송이 장미원의 장미/장미향기가 코를 찌릅니다

▲ 장미원을 구경하고 춘의산(도당산)산행을 시작합니다. 장미원 중앙쪽의 운동시설을 지나 산으로 올라갑니다

▲ 비교적 완만한 경사길을 오릅니다

▲구름다리를 건넙니다

▲ 도당제2약수터 방향으로

▲ 이곳에서 조금가다가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갑니다.(직진은 군부대 가는길)

▲ 다시 운동시설 3거리에서 우측으로 올라갑니다

▲ 부천천문과학관 건물이 나옵니다. 이곳 3거리에서 우측 철조망길을 따라 올라갑니다

▲ 철조망길을 따라 2-3분 오르면 바위가 있는 정상이 나옵니다

▲ 도당산이라고 씌여있는 이곳이 춘의산(105.6m)정상입니다. 이곳에서는 춘의산(도당산)등으로 2개의 이름으로 불리는것 같습니다

▲ 정상의 바위 우측길로 하산합니다. 이곳은 군부대 지역이라 내려가라는 방송이 나옵니다. 주의해야합니다

▲ 하산합니다

▲ 뒤돌아본 정상의 바위

▲ 잠시 5분여 하산길을 따르면 전망덱크가 나오고 주민들이 많이 나와 산책하고 있습니다. 좌측은 부천천문과학원 건물입니다

▲덱크길에서 부천시내가 잘조망됩니다. 이곳의 또다른 명소인 춘의정을 향합니다

▲ 덱크길에서 직진하다가 좌측으로 방향을 틀어서 가면은 이정목이 나오고 우측의 춘의정방향으로 갑니다

▲ 다시 나오는 삼거리에서 좌측길로 갑니다

▲ 5분후 춘의정(춘지봉)이 보입니다

▲ 예전엔 춘지봉으로 불렸다는 춘의정의 안내판. 춘의정에서 직진해 내려가면 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으로 갈수있습니다

▲ 다시 덱크길로 돌아와서 좌측 계단길로 내려가면 도당산 벚꽃동산이 나옵니다

▲ 봄철 벚꽃 필때면 하얀 벚꽃터널을 이루는 도로를 따라 내려갑니다

▲ 공영주차장을 지나고 이곳에서 500미터 가면 처음 출발했던 춘의역이 나옵니다

 

 

728x90

 

◆ 충북 제천시내의 밤거리 풍경

★촬영일자/2023년 5월26일

 

제천시/ 대한민국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시. 1995년 제천군과 통합시를 이루었다.

 

철도와 도로교통의 요충지로서 충청북도 북부 내륙지방과 영월군정선군 평창군 등 강원도 태백산 지역의 상업과 공업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석회석 산지로서 시멘트 공업이 발달했으며 월악산국립공원과 충주호 등 관광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 유튜브 영상/2023년 6월04일 업로드

본인이 직접 제작한 영상입니다. 보시고 좋으시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합니다.

▲ 중앙로터리

▲ 의림대로

▲ 제천보건소

▲ 내제로

▲ 청전동 식당가

▲ 제천버스터미널

▲ 중앙동 약선음식거리

▲ 중앙동 약선음식거리

▲ 제천명동갈비골목

▲ 중앙로 달빛정원거리

▲ 제천시청(천남동)

 

 

 
728x90

◈100대명산 덕유산 철쭉산행

★소재지/전북 무주군

★산행일자/2022년 6월 01일

★산행코스/안성탐방센타 출발-문덕소-칠연폭포 삼거리(칠연폭ㅍ)-동엽령-백암봉-덕유평전-중봉-향적봉 정상-향적봉 대피소-동엽령-안성탐방센터 산행끝

★산행거리 /약 18.5키로(약 8시간 소요/천천히)

산행코스 난이도/ 상급

덕유산 [德裕山] 1,614m

전북 무주군, 장수군, 경남 거창군, 함양군

덕유산국립공원 관리사무소 ☎063-322-3174~5

덕유산은 전북 무주군과 장수군, 경남 거창군과 함양군에 걸쳐있다. 주봉인 향적봉(1,614m)을 중심으로 해발 1,300m 안팎의 장중한 능선이 남서쪽을 향해 장장 30여㎞에 뻗쳐있다. 북덕유에서 무룡산(1,491)과 삿갓봉을 거쳐 남덕유(1,507m)에 이르는 주능선의 길이만도 20㎞를 넘는 거대한 산이다.

덕유산에서 발원한 계류는 북쪽의 무주로 흘러 금강의 지류인 남대천에 유입된다. 설천까지의 28㎞ 계곡이 바로 「무주구천동」이다. 구천동계곡은 폭포, 담, 소, 기암절벽, 여울 등이 곳곳에 숨어 "구천동 33경"을 이룬다.

청량하기 그지없는 계곡과 장쾌한 능선, 전형적인 육산의 아름다움, 그리고 넓은 산자락과 만만치 않은 높이를 갖고 있어 산악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산 정상에는 주목과 철쭉, 원추리 군락지가 있어 봄, 가을 산행이 운치를 더한다.

덕유산은 철쭉 또한 아름답다. 특히 주능선에는 철쭉이 산재하여 있어 "봄철 덕유산은 철쭉 꽃밭에서 해가 떠 철쭉 꽃밭에서 해가 진다"는 말을 듣기도 한다.

북덕유정상 향적봉에서 남덕유 육십령까지 20㎞가 넘는 등산로에 철쭉군락이 이어진다. 가장 화려한 곳은 덕유평전. 평평한 능선에 철쭉밭이 화원을 이루고 있다. 보통 6월5일경이 절정이다.

 

▲ 유튜브 영상/2023년 6월03일 업로드

본인이 직접 제작한 영상입니다. 보시고 좋으시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합니다.

 

 

 

▲ 덕유산 산행 개념도/약18.5키로 8시간 소요

▲ 수도권을 출발 3시간을 달려 덕유산 안성탐방센타에 도착하고 산행을 시작합니다. 주차장은 한산합니다

▲ 널찍한 등산로

▲ 며칠전 폭우가 내려 계곡에 물이 풍성합니다

▲ 비경의 문덕소가 보입니다

▲ 칠연폭포 3거리가 나옵니다. 동엽령은 좌측으로 가고 우측으로 300미터 가면 칠연폭포입니다

▲ 잠시 좌측으로 올라 칠연폭포를 구경합니다

▲ 칠연폭포하단

▲ 칠연폭포(상단)

▲ 다시 동엽령을 향해 출발합니다

▲ 등산로가 순탄합니다

▲ 산행시작 1시간 동엽령 2키로 남았습니다.

 

▲ 전망이 트이고 동엽령이 보이고 우리가 산행을 시작한 칠연계곡 안성탐방센타 방향이 보입니다

▲ 동엽령으로 올라섭니다

▲ 덕유산 정상쪽이 보입니다

▲ 덕유산 정상

▲ 백암봉으로 오르는 계단을 오릅니다

▲ 백암봉을 오르다 바라본 남덕유산

▲ 백암봉에서 우측으로 뻗은 이능선이 백두대간 능선입니다

▲ 해발 1305m의 백암봉 정상

▲ 백암봉에서 바라본 남덕유산

▲ 백암봉의 이정목

▲ 바위로 이루어진 백암봉 정상

▲ 중봉(우) 향적봉(좌)이 보입니다

▲ 남덕유산에서 기백산으로 뻗은 능선

▲ 덕유평전이 보입니다

▲ 덕유평전

▲ 닥유평전으로 올라오는 등산인들

▲ 덕유평전에서 뒤로돌아 우측방향입니다

 

▲ 이번엔 좌측방향

▲ 덕유평전을 뒤돌아 봤습니다

▲ 남덕유산 원경

▲ 전북 무주군 안성면이 보입니다

▲ 중봉에서 바라본 덕유산 정상 향적봉(1614m)

▲ 중봉에서 바라본 덕유산 정상 향적봉(1614m)

▲ 석탄절 연휴에 2일동안 내린 폭우로 철쭉이 많이 지고 일부만 조금 남았습니다

▲ 철쭉과 향적봉

 

▲ 향적봉으로 갑니다

▲ 향적봉이 보입니다

▲ 향적봉에 도착합니다

 

▲ 덕유산 정상 향적봉

▲ 정상에서 바라본 설천봉

▲ 무주리조트 스키장과 칠봉능선

▲ 덕유산 정상의 조망

▲ 향적봉 정상석

▲ 향적봉의 철쭉

▲ 차량회수를 위해 다시 안성탐방센타로 돌아갑니다

▲ 비가오려고 개스가 몰려옵니다

▲ 다시 돌아온 동엽령에서 우측으로 하산합니다

▲ 동엽령에서 하산시작 1시간 멋진 무명폭포가 나옵니다

▲ 안성탐방센타에 거의 다왔습니다

▲ 안성탐방센타앞의 주차장에 도착하고 산행을 마칩니다

 

 
728x90

 

서울대공원 장미원축제 (2023 5/26~6/4)

★위치/경기도 과천시

★촬영일자/2023년 5월29일

179종 38,000주의 장미꽃이 피어내는 각양각색의 색과 향기,바닥분수, 원형분수에서 쏟아내는 역동적이고 시원한 물줄기

한적하고 여유로운 산책을 즐길 수 있는 장미원 내 호숫가 산책로까지,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모든 연령에서 즐거운 하루를 보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사진찍기 좋은 핫플레이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제23회 서울대공원 장미원축제!

연인, 가족들과 함께 오셔서 다양한 이벤트에 참여해보세요~🌹

※ 꽃 개화상황은 날씨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유튜브 영상/2023년 6월2일 업로드

본인이 직접 제작한 영상입니다. 보시고 좋으시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합니다.

▲ 서울대공원역 2번출구로 나가 직진하다가 우측으로 1키로 정도 가면 테마가든이 나오는데 장미축제는 이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 장미축제를 알리는 안내문

▲전면에 보이는 코끼리열차 타는곳에서 코끼리열차를 타고 가도 됩니다

▲10분정도 가면 리프트 타는곳이 나오는데 리프트를 타고 갈수도 있습니다

▲ 수도권의 명산 청계산의 모습

▲ 테마가든의 매표소/장미축제는 2천원입니다

 

▲ 많은 인파로 붐비는 장미축제장

▲ 호수주위를 산책할수도 있습니다

▲ 장미꽃도 있고 이름모를 꽃도 군락을 이루고 있습니다

 

▲ 꼬끼리열차

▲ 장미원축제 구경을 마치고 과천대공원호수를 둘러보는 둘레길을 따라 산책도 할수있습니다

 

 

728x90

단양읍내의 밤거리 풍경

★촬영일자/2023년 5월26일

단양군/

충청북도에 있는 군이다. 동쪽은 강원도 영월군과 경상북도 영주시 서쪽은 제천시 남쪽은 경상북도 문경시와 예천군과 접하고있다. 면적은 781.06㎢이고, 인구는 2만8천명(2023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2개 읍, 6개 면, 151개 행정리(108개 법정리)가 있다. 군청은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별곡리에 있다.

단양읍은 충주댐의 건설로 구단양읍내 및 그 일부가 수몰되었으나 도전리와 별곡리에 새로이 건설한 신단양은 호반의 도시로서 자연경관이 매우 아름다워 사시사철 관광객들로 북적인다.

 

▲ 유튜브 영상/2023년 5월29일 업로드

본인이 직접 제작한 영상입니다. 보시고 좋으시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합니다.

▲ 삼봉로

▲ 삼봉로의 밤거리

▲ 단양읍사무소

▲ 단양문화예술회관

▲ 단양 365할인마트 내부

▲ 중앙지구대

▲ 남한강변 수변무대

▲ 고수대교

▲ 다누리 아쿠아리움

▲ 제39회 단양 소백산 철쭉축제

▲ 다누리 아쿠아리움

▲ 남한강변으로 내려가는 계단

 

728x90

덕유산 [德裕山] 1,614m

전북 무주군, 장수군, 경남 거창군, 함양군

덕유산국립공원 관리사무소 ☎063-322-3174~5

 

 

덕유산은 전북 무주군과 장수군, 경남 거창군과 함양군에 걸쳐있다. 주봉인 향적봉(1,614m)을 중심으로 해발 1,300m 안팎의 장중한 능선이 남서쪽을 향해 장장 30여㎞에 뻗쳐있다. 북덕유에서 무룡산(1,491)과 삿갓봉을 거쳐 남덕유(1,507m)에 이르는 주능선의 길이만도 20㎞를 넘는 거대한 산이다.

덕유산에서 발원한 계류는 북쪽의 무주로 흘러 금강의 지류인 남대천에 유입된다. 설천까지의 28㎞ 계곡이 바로 「무주구천동」이다. 구천동계곡은 폭포, 담, 소, 기암절벽, 여울 등이 곳곳에 숨어 "구천동 33경"을 이룬다.

청량하기 그지없는 계곡과 장쾌한 능선, 전형적인 육산의 아름다움, 그리고 넓은 산자락과 만만치 않은 높이를 갖고 있어 산악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산 정상에는 주목과 철쭉, 원추리 군락지가 있어 봄, 가을 산행이 운치를 더한다.

덕유산은 철쭉 또한 아름답다. 특히 주능선에는 철쭉이 산재하여 있어 "봄철 덕유산은 철쭉 꽃밭에서 해가 떠 철쭉 꽃밭에서 해가 진다"는 말을 듣기도 한다.북덕유정상 향적봉에서 남덕유 육십령까지 20㎞가 넘는 등산로에 철쭉군락이 이어진다. 가장 화려한 곳은 덕유평전. 평평한 능선에 철쭉밭이 화원을 이루고 있다. 보통 6월25일 전후 6월 5일경이 절정이다.

덕유산은 무주구천동을 끼고 있어 여름철에 각광받는 곳이지만 가을단풍으로도 유명하다. 매우 다양하고 아름다운 단풍경승을 자아내는데 산속으로 안길수록 더욱 깊고 그윽한 맛을 풍긴다. 대표적인 코스는 구천동 33경을 보면서 북덕유산 정상을 오르는 코스. 하지만이 코스는 단풍 절정기에 너무 많은 인파로 붐비는 게 흠이다.

조용하고 깊이있게 단풍을 즐기려면 덕유산 제2의 고봉인 남덕유산이 좋다. 남덕유산 정상에 오르면 푸른빛의 구상나무와 어우러진 단풍이 한껏 멋을 풍긴다. 삿갓재에서 왼쪽 골짜기로 내려서면 원통골. 원시림지대여서 단풍이 더욱 찬란하다. 하류쪽에 조성된 잣나무 단지의 푸른빛과 참나무들의 갖가지 단풍빛이 썩 잘 어울린다.

겨울의 덕유산은 마치 히말라야의 고봉들을 연상케 한다. 첩첩산중으로 장쾌하게 이어진 크고 작은 연봉들이 눈가루를 흩날리며 선경을 연출한다. 덕유산은 남부지방에 있으면서도 서해의 습한 대기가 이 산을 넘으면서 뿌리는 많은 눈 때문에 겨울산행 코스로 최고의 인기를 모으는 곳이다.

구천동계곡에서 시작하는 산행은 다른 계절에 맛볼 수 없는 독특한 정취를 자아낸다. 눈 쌓인 능선길을 올라 정상인 향적봉에 닿으면 눈옷을 입고 있는 철쭉군락과 주목, 구상나무숲이 보여주는 설화가 감탄을 자아낸다. 향적봉-중봉 구간에 있는 구상나무군락의 설화는 한폭의 동양화를 연출한다.

 

산행 코스

[구천동 산행기점]

ㅇ삼공리-백련사-향적봉-오수자굴 코스(5시간)

삼공리버스정류장-(1시간30분)- 백련사 -(능선,1시간30분)- 향적봉 -(20분)- 중봉-(50분)-오수자굴 -(50분)- 백련사-삼공리

[송계사 산행기점]

ㅇ송계사- 귀봉- 백암봉- 중봉- 향적봉 코스

송계사버스종점 -(30분)- 귀봉-(20분)- 백암봉-(45분)- 중봉-(20분)-향적봉

[안성지구 산행기점]

ㅇ안성탐방지원센터-동엽령-중봉-향적봉 코스

안성탐방지원세터-송계삼거리-중봉-향적봉-백련사 또는 무주리조트

[겨울산행코스]

ㅇ무주리조트-곤돌라-설천봉-향적봉-중봉 왕복산행코스(3시간)

ㅇ무주리조트-곤돌라-설천봉-향적봉-중봉-송계삼거리-안성탐방지원센터

ㅇ무주리조트-곤돌라-설천봉-향적봉-중봉-송계삼거리-송계사

ㅇ무주리조트-곤돌라-설천봉-향적봉-중봉-오수자골-삼공리

ㅇ삼공리-구천동-백련사-향적봉-중봉-오수자골-삼공리 코스

ㅇ안성탐방지원세터-송계삼거리-중봉-향적봉-설천봉-곤돌라-무주리조트

ㅇ안성탐방지원센터-송계삼거리-중봉-향적봉-백련사-구천동-삼공리

ㅇ삼공리-구천동-백련사-향적봉-중봉-오수자골-삼공리 코스(5시간)

 

ㅇ덕유산 종주 코스(12시간)

영각사-남덕유산-삿갓재대피소-향적봉-설천봉-곤돌라-무주리조트

삼공리주차장-(1시간30분)- 백련사 -(1시간30분)- 향적봉 -(1시간30분)- 동엽령 -(2시간)-무룡산 -(50분)- 삿갓골재 -

(1시간20분)- 월성재 - (1시간)- 남덕유정상 -(1시간30분)- 영각사-(30분)- 조산마을

 

[남덕유산 삿갓봉 코스]

ㅇ명천리버스종점 -(2시간)- 삿갓골재 -(1시간)- 월성재 -(50분)- 남덕유산 -(1시간50분)- 영각사

ㅇ조산마을버스종점 -(50분)- 영각사 -(10분)- 덕유교육원 -(1시간30분)- 남덕유산 -(1시간30분)- 삿갓봉-(1시간)- 무룡산

 

 

 

 

 

 

 

 

 

 

 

 

 

 

 

 

 

 

 

 

 

 

 

 

 

 

 

 

 

728x90

◈소백산 철쭉산행

★소재지/충북 단양군과 경북 영주시 일대

★산행일자/2023년 5월 26일

★산행코스/어의곡 탐방지원센타-을전-늦은맥이재-상월봉-국망봉-초암사 삼거리-어의곡 삼거리-비로봉(정상)-어의곡 탐방지원센타

★산행거리 /약 15.7키로(약 6시간 10분소요)

산행코스 난이도/ 중급

소백산(1,438m)

소백산(1,439m)국립공원 소백산은 경북 영주시와 충북 단양군에 걸쳐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12대명산의 하나로 불리었고 삼재가 들지않는 산이라하여 신령시 되는 풍수의 명산으로 알려진 산이다. 예전엔 소백산맥의 모산 소백산으로 불리었다.

현재의 산맥체계상으로 보면 백두대간 주능선에 자리한다. 1987년 국립공원 18호로 지정되었다. 공원면적은 322.38㎢로 넓은 자락에 울창한 숲과 산림을 자랑하며 경상도와 충청도를 나누고 있다.

특히 소백산 정상의 능선은 일명 천상의화원으로 유명하며 천연기념물인 주목과 에델바이스로 알려진 왜솜다리와 이밖에 수많은 야생화는 소백산의 트레이드 마크이기도 하다.

겨울철의 하얀눈과 눈꽃 봄의 철쭉과 여름철 정상 일대의 푸르른 초원과 주변에 산재한 수량이 풍부한 계곡은 사시사철 등산인과 행락객들을 불러 모으고 있다.

특히 연화봉에서 비로봉과 국망봉으로 이어지는 정상 주능선 일대의 푸른 초원과 5월의 철쭉은 부드러운 모성의 이미지를 표현한다고 하여 사시사철 산악인들을 불러 모으고 혼을 빼놓고 있다.

 

▲ 유튜브 영상/2023년 5월27일 업로드

본인이 직접 제작한 영상입니다. 보시고 좋으시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합니다.

▲ 어의곡탐방지원센타앞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산행을 준비합니다. 평일인데도 많은 차량이 보입니다. 휴일엔 주차를 하기 어려울것 같습니다(주차료 없음)

▲ 주차장을 출발 처음 보이는 이정목 삼거리에서 직진 10여분 오르면 을전탐방로가 나옵니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들어가면서 산행을 시작합니다

▲ 비로봉 9.4키로 국망봉 6.3키로를 알리는 을전의 이정목

▲ 을전탐방로 게이트로 들어갑니다

▲ 현수교를 건넙니다

▲인적이 드믄 심산유곡의 원시림인 늦은맥이재 코스

▲ 계곡을 잠시 보고갑니다

▲늦은맥이재 1.5키로를 알립니다

▲거의 2시간 걸려 백두대간 주능선이 늦은맥이재에 올라섭니다

 

▲ 고도 1300m에서 철쭉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 이정목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상월봉을 올라갑니다

▲ 바위 암릉을 이루고 있어 다소 오르기 힘든 산길을 헤치고 1373m의 상월봉에 올라서니 전망이 아주 좋습니다. 북으로 신선봉 일대가 잘 보입니다

▲남서방향으로는 국망봉과 빨간 철쭉군락지가 보입니다

▲상월봉 정상

▲ 천상의 화원을 증명하고 있는 국망봉일대의 철쭉군랒지

▲ 국망봉으로 가는 등산로와 합류해 본격 철쭉구경을 합니다

▲ 뒤로 돌아 좀전에 올랐던 상월봉을 봅니다

▲우측 봉우리가 상월봉

▲국망봉(초록의 초원과 철쭉이 눈부십니다)

 

▲ 국망봉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 국망봉 암봉에 올라 바라본 철쭉 군락지

 

▲ 국망봉 정상에서 비로봉 방향입니다

▲ 국망봉 정상에서 비로봉과 연화봉으로 이어진 백두대간 능선

▲ 국망봉 정상

▲ 국망봉에서 비로봉으로 출발합니다

▲뒤로돌아본 국망봉

▲ 국망봉

▲ 초암사 삼거리를 지납니다. 비로봉 2.8키로 입니다

▲ 마지막으로 뒤돌아본 국망봉

▲ 비로봉으로 갑니다

▲ 가까워진 비로봉

▲ 국망봉에서 1시간 전진한곳

 

▲ 멀리보이는 국망봉

▲ 어의곡3거리 부근에서 바라본 국망봉

▲ 비로봉 가는 길의 덱크/이 덱크길이 없던 시절이 그립습니다

▲ 연화봉이 보입니다

▲산행시작 4시간30분만에 정상 비로봉에 올라섭니다

▲ 뒤로돌아 하산합니다

▲ 어의곡삼거리에서 좌측으로 하산합니다

▲ 작년에 이철쭉나무에는 철쭉이 전혀 없었습니다

▲ 1시간 25분의 하산끝에 어의곡으로 내려섭니다

▲ 어의곡 정류장의 단양시내가는 버스 시간표

728x90

◈연인산 철쭉산행

★소재지/경기도 가평군 조종면과 북면 일대

★산행일자/2022년 5월 18일

★산행코스/백둔리 제1주차장 출발-동굴-주능선 삼거리(장수능선/소망능선 합류점)-연인산 정상-철쭉군락지(연인샘)-주능선삼거리-장수봉-청풍능선 갈림길-송학봉-삼거리-제1주차장도착 산행끝

★산행거리 /약 8.4키로(약 5시간 소요/천천히)

산행코스 난이도/ 중급

연인산(1,068m)은 경기도 가평군 북면 백둔리와 하면 상판리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명지산(1,167m) 남봉인 1,199m봉에는 옛날 군인들 행군훈련 기점이었던 '결사돌파대' 라고 음각된 바위가 있다.

이 바위에서 남쪽으로 뻗어 내리는 능선은 아재비고개에서 가라앉았다가 서서히 고도를 높이면서 정점을 이루는 봉우리가 연인산이다.

연인산은 1999년 3월15일 가평군 지명위원회가 이름을 붙였다. 연인산은 우목봉과 월출산으로 불리어왔으나 가평군이 지명을 공모하여 '99년 3월 "사랑이 이루어지는 곳" 이란 뜻에서 이 산을 연인산으로 바꾸었다.

또한 연인산 남서쪽 2km 거리의 전패봉으로 불리던 906m봉과 전패고개는 혐오지명이라며 각각 우정봉과 우정고개로 새로 지정했고, 전패고개 남쪽 매봉(929m)에서 동쪽으로 가지를 쳐나간 능선상의 칼봉산(899m)은 칼봉으로, 417m봉에는 선인봉이라는 새 이름을 붙였다.

또 연인산 정상에서 동쪽 멀리 가평천 방면으로 이어지는 능선 상의 705m봉은 장수봉으로, 구나무산(859m)은 노적봉으로 이름을 새로 붙이거나 기존 산이름을 바꾸고, 연인산 정상에서 승안리로 패어져 내린 용추계곡도 연인골로 개명했다.

연인산(1,068m)은 명지산에서 남쪽으로 이어진 승안리, 상판리, 백둔리 경계에 위치 하고 있으며 용추구곡 발원지의 최고봉이다. 연인산의 동쪽은 장수봉, 서쪽은 우정봉, 남쪽에는 매봉·칼봉이 용추구곡 발원지를 "ㄷ"자 형태로 감싸고 있다.

연인산을 원점회귀로 산행을 즐길 경우 연인산 승안리 방면은 정상까지 어프로치가 길기 때문에 건각이 아닌 경우 당일산행으로는 무리다. 그러나 백둔리에서 장수능선을 타거나 서쪽 상판리 방면에서는 오르내리는 코스가 짧아 당일 원점회귀 코스로 안성마춤이다.

연인산 철쭉은 산철쭉으로 해발 700m 이상 능선에 군락으로 자생하고 고지대로 올라갈수록 나무가 굵고 꽃의 색깔이 고우며 개화기는 기온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5월 중·하순에 만개한다.

연인, 우정, 장수, 청풍 능선에서 아름다운 철쭉이 군락으로 자생하고 있다. 매봉, 노적봉 능선에도 참나무 그늘 속에 많은 철쭉이 자생한다.

계곡의 골이 깊고 능선의 경사가 완만하여 남녀노소의 접근이 용이하다. 용추구곡은 용이 하늘로 날아오르며 아홉 굽이의 그림같은 경치를 수 놓았다는 데서 유래되었으며 생태계가 훼손되지 않은 수도권 내의 보기 드문 계곡이다.

- 연인산 철쭉제(5월) -

연인산을 대중교통으로 가실분을 위해 정보를 올립니다.

백둔리 제1주차장으로 가실분은 가평군 북면 목동리 터미널에서 백둔리행 버스로 갈아타셔야 합니다.

목동-백둔리 07시10분/08시35분/10시40분/12시25분/15시

백둔리-목동 07시35분/08시55분/11시/12시45분/15시

/17시40분/18시50분

아래는 상판리(귀목리) 아재비고개 코스 교통정보입니다

현리행 광역직행버스 1330-4(청량리역 환승센타 1번승강장 출발>상봉역>돌다리>평내호평역>마석역>대성리역>청평터미널>현리) 을 타고 현리터미널 종점에 하차하고 환승합니다.

현리터미널에서 오전 시간대 07:20/09:20/11:00에 출발하는 상판리행 40-8번 이나 40-5번 버스를 타고 귀목 종점에 하차하면 됩니다.

종점에서 상판리>현리는 13:50/16:00/17:30/19:20 에 출발합니다.

 

▲ 유튜브 영상/2023년 5월19일 업로드

본인이 직접 제작한 영상입니다. 보시고 좋으시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합니다.

▲ 연인산 산행개념도

▲ 백둔리 연인산 제1주차장에 주차하고 산행을 시작합니다

▲ 주차장

▲ 소망능선을 따라 갑니다. 약3.4키로

▲ 동굴을 지납니다

▲ 이정목과 안내판이 자주 나오고 산길도 대로길입니다

▲ 고도가 올라가니 안보이던 철쭉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 소망능선과 장수능선이 만나는 삼거리가 보입니다

▲ 주능선 삼거리

 

▲ 좌우로 철쭉꽃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 좌측으로 장수샘이 보입니다

▲ 정상을 향해갑니다

▲ 정상방향 좌측으로 철쭉꽃이 만개하였습니다

▲ 정상에 올랐습니다

 

▲ 연인산 정상석에서 좌측 계단길(우정능선)로 내려갑니다

▲ 잠시내려서면 이정목 삼거리인데 연인능선(연인샘)방향으로 내려가면 다시 소망능선으로 갈수 있습니다

▲ 이정목에서 바라본 연인산 정상

▲ 연인능선으로 내려섭니다

▲ 벤치가 놓인 근처의 철쭉

▲ 연인샘

▲ 연인샘을 지나 능선으로 올라섭니다

 

 

▲ 소망능선에 다시올라 소망능선과 장수능선이 만나는 삼거리에서 직진합니다. 장수능선길을 타고 하산합니다

▲ 삼거리에서 25분만에 장수봉에 올라섭니다

▲ 장수봉에서 15분 장수능선과 청풍능선이 갈리는 삼거리의 이정목이 나옵니다

▲ 장수능선과 청풍능선이 갈리는 삼거리

▲ 장수능선에는 2키로의 철쭉능선이 있지만 꽃이 지고 없는 상태입니다

▲ 조그만 바위를 지납니다

▲ 청풍능선 갈림길에서 27분 송학봉이 나옵니다

▲ 송학봉

▲ 송학봉에서 12분정도 오니 나오는 삼거리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내려갑니다

▲ 좌측 제1주차장으로

▲ 출발한 제1주차장이 나옵니다

▲ 제1주차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