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국내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들어온다.

코로나 백신의 국내 첫 접종자는 2월 수도권에서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간호사 등 '방역 최일선' 의료진이다. 대상자는 5만~6만명으로 추정된다. 3월까지 요양병원 노인, 역학조사관 등 130만명이 접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정부는 9월까지 전 국민 1차 접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코로나19와의 전쟁은 현재 진행형이다. 2019년의 마지막 날. 코로나의 존재가 처음 세상에 알려졌다.

그로부터 1년여,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호흡기 감염병의 유행은 전 세계를 휩쓸었다. 팬더믹(대유행)은 확진자 1억명을 훌쩍 넘겨 2억명을 향해 빠르게 올라가고 있다. 이미 200만명 이상의 목숨이 바이러스에 스러졌다.

 

백신과 치료제. 인류가 새로운 감염병과 싸우려면 꼭 필요한 무기들이다.

팬더믹 시작과 동시에 백신·치료제 개발도 물꼬를 텄다. 팬더믹의 유행세만큼 백신 개발 속도도 경이적이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효과적인 백신 만드는 데 몇 년씩 걸린다. 하지만 미국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는 단 11개월 만에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했다.

 

2020년 12월 8일. 영국 90세 할머니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백신 접종이 시작됐다.

이제 코로나와의 전쟁은 2라운드를 맞이했다. 전 세계 모든 국가와 제약업체, 연구소 등이 달라붙어 반(反)코로나 전쟁에 매진하고 있다.

 

2021년은 코로나와의 싸움을 끝낼 '엔드게임'(종반전)이 될 수 있을까. 중앙일보는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적인 백신 개발·접종 레이스를 추적하는 '백신 트래커(Tracker)'를 운영한다. 최신 백신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개발 중인 백신은 도대체 몇 개일까?

전 세계 제약업체들이 백신 개발에 나섰기 때문에 정확히 집계하기 어렵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동물 실험 등이 진행 중인 임상 전 단계에만 190개 넘는 백신이 있다. 사람에게 적용하기 시작하는 임상 1상에는 15개 백신이 진입했다. 2상은 18개, 3상은 12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사용 승인받은 제품(1일 기준)은 화이자, 모더나(미국) 2종이다. 하지만 대규모 3상을 거친 백신들이 현장에 투입되기 시작했다. 국내 도입 예정인 아스트라제네카(스웨덴)-옥스포드대(영국) 백신은 지난해 12월 영국 정부의 긴급사용 승인을 받았고, 중국·러시아 백신 등을 쓰는 국가들이 늘고 있다. 곧 일반인도 쓸 수 있는 백신들이 쏟아질 거란 의미다.

 

반면 한국은 백신 개발 경쟁에서 쫓아가는 입장이다. 제넥신, SK바이오사이언스, 진원생명과학 등 대부분 업체가 1~2상 단계에 머물러 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백신은 어떻게 코로나 바이러스와 싸울까?

개발 속도전에서 치고 나간 건 RNA나 DNA를 활용하는 유전자 백신이다. 세포가 무해한 바이러스를 만들도록 지시하는 '메신저'를 통해 몸 안에 항원을 생성하는 게 mRNA(전령 RNA) 유형이다. 화이자와 모더나가 여기에 해당한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DNA 조각을 몸에 투입해서 항원을 생성하기도 한다.

 

최신 기술로 꼽히는 이들은 백신 물질을 아주 빠르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하지만 초저온 유통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전문가 사이에서 안전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코로나 바이러스 유전자를 안전한 바이러스(운반체)에 넣어 인체로 투입하는 '바이러스 벡터' 형도 있다. 아스트라제네카가 대표적이다. 아프리카에서 유행한 에볼라도 이 방식으로 백신을 만들었다.

 

그 외엔 바이러스를 죽이거나 힘을 없애버리는 비활성화 백신(전통적 방식), 바이러스의 단백질 구성 요소를 재조합하는 방식과 말라리아 백신처럼 바이러스 유사 입자를 쓰는 형태도 있다. 단백질 재조합은 문재인 대통령이 2000만명분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미국 노바백스 백신이 채택하고 있다. 이는 오랜 기간 사용해와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은 제조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름 들어본 주요 백신들, 장·단점은 뭘까?

일반인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백신은 4가지다. 백신 개발 경쟁에서 앞서 나간 화이자와 모더나, 그리고 가장 많은 물량을 생산ㆍ공급할 예정인 아스트라제네카와 2분기 중 국내로 도입될 얀센이다. 얀센을 제외한 나머지 3개 백신은 2회 접종이 원칙이다. 화이자는 3주 간격, 모더나·아스트라제네카는 4주 간격으로 주사를 맞아야 한다. 각 사가 공개한 임상 자료에 따르면 접종 후 심각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의 작동 원리(전령RNA)는 동일하다. 예방 효과도 화이자 95%, 모더나 94.1%로 높다. 다만 한 번 접종하는 데 드는 비용은 2만원 안팎으로 비싼 편이다. 화이자는 영하 70도 이하의 초저온 '콜드 체인'으로 유통해야 하는 부담도 있다. 모더나는 영하 20도 보관이 원칙이지만, 2~8도에서도 상태가 유지돼 상대적으로 보관하기 쉽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예방 효과는 70.4%로 다소 떨어진다. 하지만 첫 번째 접종 시 절반만 투여하고, 두 번째에 전량을 쓰면 90%로 나오기도 했다. 이 백신의 장점은 비용이다. 1회 접종 시 3000~5000원 정도만 소요된다. 또한 6개월간 2~8도 냉장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같은 바이러스벡터 방식인 얀센 백신의 최대 장점은 한 번만 접종(변경 가능)하면 된다는 점이다. 2~8도 냉장 상태로 3개월간 유통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힌다. 다만 아직 3상 시험이 진행중으로 공식 사용 승인을 받지 못 했다는 점이 불안 요인이다.

백신 트래커 중간 테스트

지금까지 읽은 기사 내

 

 

 

구매 계약만 맺은 한국, 누구에게 언제 접종하나?

1일 현재 국내 백신 계약 물량은 5600만명분(확정치 기준)이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제일 먼저 아스트라제네카와 1000만명분(2000만 도즈)을 공급받기로 계약했다. 접종 시작 시기는 이르면 2월 말로 예상된다. 다른 백신들에 비해 가장 빠른 편이다.

 

하지만 '늦장 도입' 논란이 커지자 모더나 백신 확보에 청와대까지 나섰다. 지난해 12월 28일 문재인 대통령과 모더나 CEO(최고경영자)가 2000만명분(4000만 도즈) 공급에 합의했다. 처음 계약을 추진했던 2000만 도즈의 2배 수준이다. 백신 공급이 시작되는 시점도 3분기에서 2분기로 앞당겨질 예정이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세부 사항이 확정되진 않았지만, 국제적인 백신 공동 구매연합체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서도 1000만명분을 확보했다. 코백스 백신은 1분기 내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화이자는 1000만명분, 얀센은 600만명분에 달하는 계약을 맺었다. 얀센은 2분기 중, 화이자는 3분기 중으로 접종이 이뤄질 전망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위탁생산을 맡은 노바백스가 추가로 도입되면 확보 물량은 대거 늘어난다. 문 대통령 언급대로 2000만명분이 순조롭게 계약될 경우, 기존 확보치를 포함해 국민 7600만명이 백신을 맞을 수 있게 된다.

 

지난달 28일 정부가 발표한 백신 접종 계획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백신이 들어오는만큼 제품 선택권은 없다. 만약 백신 접종을 거부한다면 제일 뒷 순위로 밀리게 된다. 콜드 체인이 필요한 화이자·모더나 백신은 약 250개 접종센터에서 접종이 이뤄질 예정이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은 위탁 의료기관 약 1만 곳과 보건소 전담팀이 접종을 맡게 된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백신을 가장 많이 구매한 국가는?

가장 많은 분량의 계약이 체결된 곳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17개 국가(코백스 포함)에 30억3600만회 분량(지난달 31일 기준)을 공급하기로 했다. 인도·미국 등 7개국에 13억1400만 도즈를 제공할 노바백스가 두번째로 많고, 화이자(8억3600만 도즈) 등이 뒤를 잇는다.

 

국가별로 들어가 보면 캐나다의 백신 구매 비율이 가장 높다. 1억2388만명에게 접종 가능한 백신을 확보했는데, 전체 인구의 3배(330.1%)를 훌쩍 넘는 분량이다. 영국(302.2%), 뉴질랜드(246.8%)와 유럽연합(EU) 국가들도 여유 있는 편이다. 확보한 백신의 양만 따진다면 인구 13억명의 인도가 22억 도즈로 압도적인 세계 1위다.

 

반면 아프리카와 아시아, 남미 등에선 백신 계약분이 인구수에 미치지 못한 국가가 많다. 백신 접종과 코로나 방역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백신 접종 레이스, 선두 나선 곳은 어디?

해외에선 백신 구매 계약만 빠르게 이뤄지지 않았다. 지난해 12월 영국을 시작으로 미국, 캐나다, EU 국가 등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이 이뤄졌다. 행정 절차와 배송에 따른 지연, 백신 안전성에 대한 불신 등 숙제가 있긴 하지만 백신 주사를 맞는 비율은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달 31일까지 전 세계에서 9730만 회의 접종이 이뤄졌다.

 

가장 빠른 속도를 보이는 곳은 인구 900만명의 이스라엘이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지난해 12월 19일(현지시간) '1호'로 백신 접종에 나섰다. 그다음 날부터 이스라엘 보건당국은 의료진을 대상으로 대규모 접종을 시작했다. 지난달 31일 기준 백신 접종 485만회가 이뤄졌다. 인구 100명 중 33.9명이 백신 주사를 한 번 이상 맞았다. 이 비율이 두 번째로 높은 곳은 세이셸(100명 중 32.1명)이다.

 

 

정종훈 기자, 이수민 인턴 sakehoon@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2월 시작되는 국내 백신 접종, 나는 언제 맞을 수 있을까

 

+ Recent posts